기획특집
사진으로 보는 초창기 국민대학교
- 06.03.28 / 이정인
「동아일보」 1946년 12월 27일자 학생 모집 광고. |
|
어렵사리 입학원서를 마감한 후에는 종로구 내수동에 있던 보인상업고등학교의 교실을 빌어 입학시험을 치르는 웃지 못할 광경이 연출되었다. 그러나 국민대학교에 지원하려는 학생들의 열기는 다른 대학보다 뜨거워 당시 입학시험 경쟁률은 7대 1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1946년 9월 1일의 개교를 앞두고서야 어렵게 보인상업학교 별관 2층 건물을 빌릴 수 있었다. 이것이 국민대학교의 첫 교사였다. 아래층에는 학장실과 사무실, 강의실 하나를, 위층에는 넓은 강의실 2개를 마련하였다.
초창기 입학시험장 1946년 국민대학 입학시험 은 경쟁률이 7대 1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
보인상업학교 건물 1946년 9월 1일 국민대학교는 보인상업학교 별관 2층 건물을 빌려 개교할 수 있었다. 사진은 1947년 2월 당시 모습. | |
야간대학으로 출발한 초창기 국민대학교 학생들은 직장에 몸담고 있었지만, 향학열에 불타는 뜻있는 젊은이들이었다. 나이든 학생들도 있어, 개교 당시 1회 학부생들의 나이는 20세에서 50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그 중에는 다른 대학에 다니다가 입학한 사람도 적지 않았다. 일본의 교토대(京都大)를 졸업하거나, 서울대에 재학하던 학생들이 편입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1회 졸업생인 남덕우(전 총리)·김성기(전 국민대 교수)·남광우(전 인하대 교수) 등이 그러한 경우였다.
편입생들 가운데는 국민대학교가 단순히 야간대학이라서가 아니라, 임시정부나 해공 선생 같은 분이 세운 대학이기에 독립운동 정신과 높은 뜻을 이어받기 위해 온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 학생들은 주경야독하며 2개의 도시락을 싸와 점심은 직장에서, 저녁은 학교에서 먹으며 면학에 전념하였다.
강의실 모습 | |
개교 초기 학생 정원은 학부와 전문부로 나누어져 법률학과·정경학과 각각 50명씩 100명이었으나, 1947년 ‘국민대학’으로 승격되면서 정치학과 50명이 증원되어 150명이 되었다. 전문부는 폐지되고 야간에서 주간으로 바뀌게 되었다.
한국전쟁 하루 전인 1950년 6월 24일에는 개교이래 첫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원래 졸업식은 3월에 거행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늦어진 데에는 사연이 있었다. 1950년 초 학장 신익희에 대한 재단측의 일방적인 해임사건으로 문교부는 신익희 학장 명의로 된 학위수여증을 인정할 수 없다고 하자 학생들은 신익희 학장 명의의 학위수여증이 아니면 받을 수 없다고 맞서 싸웠다. 마침내 문교 당국의 묵인아래 졸업식 기한을 3개월 넘긴 뒤, 첫 학위수여식이 거행되었던 것이다. 문교부의 승인이 없는 학장의 자필로 서명된 졸업장이었다. 지금으로서는 도저히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지만, ‘민족대학’인 국민대학교에 입학하여 학교를 내집같이 생각하면서 지키고 건설해 갔던 초기 학생들의 학교와 해공에 대한 애착심과 존경심은 이같이 남다른 데가 있었다.
제1회 졸업증서(1950년 6월 24일) |
전쟁이 지속되자 부산으로 피난하여 ‘국민대학교 연락사무소’를 운영하던 학교당국은 1951년4월 부산역 건너편 영주동에 있는 양재(洋裁)학원을 월세로 얻어 임시대학을 개강하였다.이처럼 부산 피난 시절에도 국민대학교는 임시대학을 개설하여 착실하게 안정 기반을 구축하여 갔다. 1953년 4월 1일 부민동 행복산 단독 가교사로 이전하기 직전인 3월 27일 제4회 졸업식이 부산 부민관에서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피난지 부산에서 거행된 마지막 졸업식이었다. 약 2년여의 부산 피난 생활 중, 제2회·제3회·제4회 등 3차에 걸친 졸업식이 있었다.
학생총회(1952년) | 한국전쟁시 졸업식 광경(1952년 3월 30일)부산 피난 시절 임시대학이 개설되어 제3회 졸업식이 거행되었다. | |
사진으로 보는 초창기 국민대학교 | |||||||||||||||||||||||||||||||||||||
---|---|---|---|---|---|---|---|---|---|---|---|---|---|---|---|---|---|---|---|---|---|---|---|---|---|---|---|---|---|---|---|---|---|---|---|---|---|
어렵사리 입학원서를 마감한 후에는 종로구 내수동에 있던 보인상업고등학교의 교실을 빌어 입학시험을 치르는 웃지 못할 광경이 연출되었다. 그러나 국민대학교에 지원하려는 학생들의 열기는 다른 대학보다 뜨거워 당시 입학시험 경쟁률은 7대 1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1946년 9월 1일의 개교를 앞두고서야 어렵게 보인상업학교 별관 2층 건물을 빌릴 수 있었다. 이것이 국민대학교의 첫 교사였다. 아래층에는 학장실과 사무실, 강의실 하나를, 위층에는 넓은 강의실 2개를 마련하였다.
야간대학으로 출발한 초창기 국민대학교 학생들은 직장에 몸담고 있었지만, 향학열에 불타는 뜻있는 젊은이들이었다. 나이든 학생들도 있어, 개교 당시 1회 학부생들의 나이는 20세에서 50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그 중에는 다른 대학에 다니다가 입학한 사람도 적지 않았다. 일본의 교토대(京都大)를 졸업하거나, 서울대에 재학하던 학생들이 편입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1회 졸업생인 남덕우(전 총리)·김성기(전 국민대 교수)·남광우(전 인하대 교수) 등이 그러한 경우였다. 편입생들 가운데는 국민대학교가 단순히 야간대학이라서가 아니라, 임시정부나 해공 선생 같은 분이 세운 대학이기에 독립운동 정신과 높은 뜻을 이어받기 위해 온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 학생들은 주경야독하며 2개의 도시락을 싸와 점심은 직장에서, 저녁은 학교에서 먹으며 면학에 전념하였다.
개교 초기 학생 정원은 학부와 전문부로 나누어져 법률학과·정경학과 각각 50명씩 100명이었으나, 1947년 ‘국민대학’으로 승격되면서 정치학과 50명이 증원되어 150명이 되었다. 전문부는 폐지되고 야간에서 주간으로 바뀌게 되었다. 한국전쟁 하루 전인 1950년 6월 24일에는 개교이래 첫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원래 졸업식은 3월에 거행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늦어진 데에는 사연이 있었다. 1950년 초 학장 신익희에 대한 재단측의 일방적인 해임사건으로 문교부는 신익희 학장 명의로 된 학위수여증을 인정할 수 없다고 하자 학생들은 신익희 학장 명의의 학위수여증이 아니면 받을 수 없다고 맞서 싸웠다. 마침내 문교 당국의 묵인아래 졸업식 기한을 3개월 넘긴 뒤, 첫 학위수여식이 거행되었던 것이다. 문교부의 승인이 없는 학장의 자필로 서명된 졸업장이었다. 지금으로서는 도저히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지만, ‘민족대학’인 국민대학교에 입학하여 학교를 내집같이 생각하면서 지키고 건설해 갔던 초기 학생들의 학교와 해공에 대한 애착심과 존경심은 이같이 남다른 데가 있었다.
전쟁이 지속되자 부산으로 피난하여 ‘국민대학교 연락사무소’를 운영하던 학교당국은 1951년4월 부산역 건너편 영주동에 있는 양재(洋裁)학원을 월세로 얻어 임시대학을 개강하였다.이처럼 부산 피난 시절에도 국민대학교는 임시대학을 개설하여 착실하게 안정 기반을 구축하여 갔다. 1953년 4월 1일 부민동 행복산 단독 가교사로 이전하기 직전인 3월 27일 제4회 졸업식이 부산 부민관에서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피난지 부산에서 거행된 마지막 졸업식이었다. 약 2년여의 부산 피난 생활 중, 제2회·제3회·제4회 등 3차에 걸친 졸업식이 있었다.
|
이전글 | "이제야 후배가 누군지 알아보겠어요?!" |
---|---|
다음글 | 해방이후 최초의 민족사학, 국민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