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플러스
[조선일보 총장 인터뷰] 국민대 총장 "무전공 선발, 수도권서 최대… 학생들엔 무한 가능성"
[대학, 미래를 말하다] 국민대 정승렬 총장
정승렬 국민대 총장은 본지 인터뷰에서 “남이 만든 규칙을 그대로 따라 하는 건 재미없다”면서 “한국 사회가 갖고 있는 고정관념 대신 새로운 표준을 계속 제시하며 바꿔나가는 게 우리 목표”라고 했다. /박상훈 기자
지금까지 대학 교육은 입학 때 선택한 학과와 전공을 졸업 때도 그대로 하기를 당연히 여겼다. 내년부터 여러 대학이 이런 통념을 깨고 학교를 다니면서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무전공 제도’를 도입한다. 그중에서도 국민대는 수도권 주요 대학 가운데 가장 많은 인원을 ‘무전공(전공 자율)’으로 뽑는다. 신입생 2966명 중 1140명이다.
과감하게 혁신을 이끈 정승렬(62) 국민대 총장은 최근 본지 인터뷰에서 “종전 교육 체계에서 끊임없이 문제로 지적돼 온 학문 영역, 교육과정, 교과·비교과, 학년 간 칸막이를 뛰어넘겠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작년 9월 취임한 정 총장은 서강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와 사우스캐롤라이나대에서 경영정보학 석·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97년 국민대 정보관리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국민대 무전공 제도는 두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인문·자연·예체능 등 계열 구분 없이 전체 학과·전공 중에서 원하는 걸 자유롭게 선택하는 1유형과, 특정 단과대학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2유형이다. 내년에 1유형 828명, 2유형으로 312명이 입학한다. 둘 다 입학 후 다양한 전공을 체험한 뒤 1학년 2학기 말에 전공을 결정한다. 정 총장은 “인공지능(AI) 시대에 사회가 원하는 융합형 인재를 길러내려면 학문·물리적 경계가 없는 교육 생태계 구축이 핵심”이라며 “고3 때 진로를 정해 그걸로 평생을 먹고살아야 한다면 너무 어린 나이 아니냐. 두세 가지 진로를 탐색하면서 적성에 맞는 걸 찾는 시간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공 구분 없이 학생들을 받으면 특정 과목에 수백 명이 한꺼번에 수강 신청을 할 수 있다. 정 총장은 학생들이 과목 선택과 전공 변경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맞춤형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인 ‘스마트 멘토(가칭)’를 구축 중이다. 학생 개인의 자료를 분석해 전공별로 무슨 과목을 수강하면 되는지, 어떤 걸 전공하면 ‘졸업 후 진로’에 도움이 될지 등 체계적 로드맵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정승렬 국민대 총장이 과잠을 입은 모습. /박상훈 기자
정 총장은 “학생들에겐 무한한 가능성이 펼쳐지는 것이고, 학과 입장에선 학생 한 명 한 명을 ‘고객’으로 끌어당겨야 생존 가능한 무한 경쟁 체제로 나아가는 셈”이라며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학과 간 연계와 구조조정까지 유도할 계획”이라고 했다. 전공을 자주 바꿔도 4년 안에 졸업할 수 있도록 계절학기 확대 등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조선일보 총장 인터뷰] 국민대 총장 "무전공 선발, 수도권서 최대… 학생들엔 무한 가능성" | |||
---|---|---|---|
[대학, 미래를 말하다] 국민대 정승렬 총장
정승렬 국민대 총장은 본지 인터뷰에서 “남이 만든 규칙을 그대로 따라 하는 건 재미없다”면서 “한국 사회가 갖고 있는 고정관념 대신 새로운 표준을 계속 제시하며 바꿔나가는 게 우리 목표”라고 했다. /박상훈 기자
지금까지 대학 교육은 입학 때 선택한 학과와 전공을 졸업 때도 그대로 하기를 당연히 여겼다. 내년부터 여러 대학이 이런 통념을 깨고 학교를 다니면서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무전공 제도’를 도입한다. 그중에서도 국민대는 수도권 주요 대학 가운데 가장 많은 인원을 ‘무전공(전공 자율)’으로 뽑는다. 신입생 2966명 중 1140명이다.
과감하게 혁신을 이끈 정승렬(62) 국민대 총장은 최근 본지 인터뷰에서 “종전 교육 체계에서 끊임없이 문제로 지적돼 온 학문 영역, 교육과정, 교과·비교과, 학년 간 칸막이를 뛰어넘겠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작년 9월 취임한 정 총장은 서강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와 사우스캐롤라이나대에서 경영정보학 석·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97년 국민대 정보관리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국민대 무전공 제도는 두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인문·자연·예체능 등 계열 구분 없이 전체 학과·전공 중에서 원하는 걸 자유롭게 선택하는 1유형과, 특정 단과대학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2유형이다. 내년에 1유형 828명, 2유형으로 312명이 입학한다. 둘 다 입학 후 다양한 전공을 체험한 뒤 1학년 2학기 말에 전공을 결정한다. 정 총장은 “인공지능(AI) 시대에 사회가 원하는 융합형 인재를 길러내려면 학문·물리적 경계가 없는 교육 생태계 구축이 핵심”이라며 “고3 때 진로를 정해 그걸로 평생을 먹고살아야 한다면 너무 어린 나이 아니냐. 두세 가지 진로를 탐색하면서 적성에 맞는 걸 찾는 시간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공 구분 없이 학생들을 받으면 특정 과목에 수백 명이 한꺼번에 수강 신청을 할 수 있다. 정 총장은 학생들이 과목 선택과 전공 변경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맞춤형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인 ‘스마트 멘토(가칭)’를 구축 중이다. 학생 개인의 자료를 분석해 전공별로 무슨 과목을 수강하면 되는지, 어떤 걸 전공하면 ‘졸업 후 진로’에 도움이 될지 등 체계적 로드맵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정승렬 국민대 총장이 과잠을 입은 모습. /박상훈 기자
정 총장은 “학생들에겐 무한한 가능성이 펼쳐지는 것이고, 학과 입장에선 학생 한 명 한 명을 ‘고객’으로 끌어당겨야 생존 가능한 무한 경쟁 체제로 나아가는 셈”이라며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학과 간 연계와 구조조정까지 유도할 계획”이라고 했다. 전공을 자주 바꿔도 4년 안에 졸업할 수 있도록 계절학기 확대 등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
이전글 | ‘2024 국민대학교 감사의 밤’ 행사 개최 |
---|---|
다음글 | 국민대 교수학습개발센터, AI 기반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