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플러스

200년전 화첩에서 만난 제천 의림지 / 국민대박물관

  • 07.04.30 / 조영문

200년전의 충북 금병산

국민대박물관 이방운 화첩 영인ㆍ해제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충북 제천 의림지(義林池)는 그 역사가 적어도 천년 이상을 헤아리는 유서 깊은 인공 저수지이면서 주변과 어우러진 훌륭한 명승지이기도 하다.

이런 면모는 200년 전에도 여전해 이 일대를 찾는 시인묵객이라면 빠뜨릴 수 없는 곳으로 지목됐다.

저명한 조선후기 산수화가인 이방운(李昉運. 1761-1815)이 그림을 그린 서화첩으로 '사군강산참선수석'(四郡江山參僊水石)이 있다. 제목 그대로는 '네 개 군(郡)의 강과 산(江山), 그리고 세 신선(參僊. 三仙과 같은 말)의 고사가 얽힌 물과 돌'이란 뜻이다.

네 군은 지금의 충북 단양군과 제천군에 속하는 단양(丹陽)ㆍ청풍(淸風)ㆍ제천(堤川)ㆍ영춘(永春)이다. 이 서화첩에서 언급한 이곳 강산(명승)이란 도화동ㆍ수렴폭ㆍ한벽류ㆍ금병산ㆍ부용벽ㆍ도담ㆍ석문ㆍ구담ㆍ사인암ㆍ북벽, 그리고 의림지를 말한다. 단양팔경 중 다섯 곳이 포함돼 있다.

한편 삼선은 단양팔경에 속하는 하선암(下仙岩)ㆍ중선암(中仙岩)ㆍ상선암(上仙岩)을 말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현존 화첩에는 누락됐다.

이방운 서화첩은 국민대박물관(관장 박종기) 소장품이다. 지본담채(紙本淡彩)이며 크기는 32.5 ×26.0㎝. 발문 등에 의하면 이 서화첩은 '주문생산품'이다.

조선 순조 2년(1802) 가을, 청풍관아에 근무하던 부사(府使) 안숙(安叔)이 한가한 틈을 이용해 관내 명승들을 탐방하면서 느낀 감흥과 견문을 오칠언율시과 고체시 등으로 노래하고는 그것들을 행서ㆍ해서ㆍ초서ㆍ예서ㆍ전서 등의 각기 다른 서체로 기록했다.

하지만 이에 만족하지 못한 안숙은 그 이듬해에 이방운에게 각 명승을 그림으로 그리도록 하고, 다시 이듬해 정월에는 그의 지기인 김양지(金養之)라는 사람에게 발문을 받았다.

이렇게 해서 시(詩)ㆍ서(書)ㆍ화(畵)가 삼위일체를 이룬 '사군강산삼선수석'이라는 서화 명첩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올해 국민대 개교 60주년을 맞은 이 대학 박물관이 기념사업 일환으로 박물관 마스코트격인 이 서화첩을 1 대 1 크기로 영인ㆍ해제했다. 박물관은 이번 영인ㆍ해제본을 원본에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고급상품으로 제작했다.

각 그림에 해당하는 안숙의 모든 시 작품은 이태백 문학 전공자인 이 박물관 황선재 학예연구실장에 의해 정서체로 탈초(脫草)되고 현대어로 번역됐다.

박종기 박물관장은 서화첩 수록 그림 중에서도 의림지를 주목할 것을 요구했다. 200년 전 화폭에 담긴 그 모습이 현재에 이르러서도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는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단양팔경 중 제4경인 사인암과 5경이 구담봉, 6경인 옥순봉 아래 부용벽, 7경인 도담삼봉, 8경인 석문의 풍광 또한 이방운 서화첩에 생생하게 담겨 있어 현재의 모습과 비교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물관은 같은 개교 60주년 기념으로 '국민대학교 박물관 소장유물 도록'을 동시에 발간했다.

200년전의 의림지

출처 : 연합뉴스 2007-04-29 14:17
원문보기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620795§ion_id=103&menu_id=103

200년전 화첩에서 만난 제천 의림지 / 국민대박물관

200년전의 충북 금병산

국민대박물관 이방운 화첩 영인ㆍ해제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충북 제천 의림지(義林池)는 그 역사가 적어도 천년 이상을 헤아리는 유서 깊은 인공 저수지이면서 주변과 어우러진 훌륭한 명승지이기도 하다.

이런 면모는 200년 전에도 여전해 이 일대를 찾는 시인묵객이라면 빠뜨릴 수 없는 곳으로 지목됐다.

저명한 조선후기 산수화가인 이방운(李昉運. 1761-1815)이 그림을 그린 서화첩으로 '사군강산참선수석'(四郡江山參僊水石)이 있다. 제목 그대로는 '네 개 군(郡)의 강과 산(江山), 그리고 세 신선(參僊. 三仙과 같은 말)의 고사가 얽힌 물과 돌'이란 뜻이다.

네 군은 지금의 충북 단양군과 제천군에 속하는 단양(丹陽)ㆍ청풍(淸風)ㆍ제천(堤川)ㆍ영춘(永春)이다. 이 서화첩에서 언급한 이곳 강산(명승)이란 도화동ㆍ수렴폭ㆍ한벽류ㆍ금병산ㆍ부용벽ㆍ도담ㆍ석문ㆍ구담ㆍ사인암ㆍ북벽, 그리고 의림지를 말한다. 단양팔경 중 다섯 곳이 포함돼 있다.

한편 삼선은 단양팔경에 속하는 하선암(下仙岩)ㆍ중선암(中仙岩)ㆍ상선암(上仙岩)을 말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현존 화첩에는 누락됐다.

이방운 서화첩은 국민대박물관(관장 박종기) 소장품이다. 지본담채(紙本淡彩)이며 크기는 32.5 ×26.0㎝. 발문 등에 의하면 이 서화첩은 '주문생산품'이다.

조선 순조 2년(1802) 가을, 청풍관아에 근무하던 부사(府使) 안숙(安叔)이 한가한 틈을 이용해 관내 명승들을 탐방하면서 느낀 감흥과 견문을 오칠언율시과 고체시 등으로 노래하고는 그것들을 행서ㆍ해서ㆍ초서ㆍ예서ㆍ전서 등의 각기 다른 서체로 기록했다.

하지만 이에 만족하지 못한 안숙은 그 이듬해에 이방운에게 각 명승을 그림으로 그리도록 하고, 다시 이듬해 정월에는 그의 지기인 김양지(金養之)라는 사람에게 발문을 받았다.

이렇게 해서 시(詩)ㆍ서(書)ㆍ화(畵)가 삼위일체를 이룬 '사군강산삼선수석'이라는 서화 명첩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올해 국민대 개교 60주년을 맞은 이 대학 박물관이 기념사업 일환으로 박물관 마스코트격인 이 서화첩을 1 대 1 크기로 영인ㆍ해제했다. 박물관은 이번 영인ㆍ해제본을 원본에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고급상품으로 제작했다.

각 그림에 해당하는 안숙의 모든 시 작품은 이태백 문학 전공자인 이 박물관 황선재 학예연구실장에 의해 정서체로 탈초(脫草)되고 현대어로 번역됐다.

박종기 박물관장은 서화첩 수록 그림 중에서도 의림지를 주목할 것을 요구했다. 200년 전 화폭에 담긴 그 모습이 현재에 이르러서도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는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단양팔경 중 제4경인 사인암과 5경이 구담봉, 6경인 옥순봉 아래 부용벽, 7경인 도담삼봉, 8경인 석문의 풍광 또한 이방운 서화첩에 생생하게 담겨 있어 현재의 모습과 비교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물관은 같은 개교 60주년 기념으로 '국민대학교 박물관 소장유물 도록'을 동시에 발간했다.

200년전의 의림지

출처 : 연합뉴스 2007-04-29 14:17
원문보기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620795§ion_id=103&menu_id=103

이전글 '디자인과 경영의 융합' 콘퍼런스
다음글 한국형 성장모델 동남아에 팝니다